[금융IT용어] IaaS / PaaS / Saas
·
금융경제/금융IT용어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아이아스 또는 이에스라고 부른다. IaaS는 서비스로 제공되는 인프라스트럭처로 개발사에 제공되는 물리적 자원을 가상화한다.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는 확장성이 높고 자동화된 컴퓨팅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고객에게 서버, 네트워크, OS,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한다. IaaS의 제공업체는 서버,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킹, 가상화 및 스토리지를 관리하며 고객은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와 같은 자원을 관리한다. 장점: 물리적 자원을 제공받기때문에 고정비가 들지 않는다. 물리적 자원에대한 규모 확장/축소가 자유롭다. 요약) 물리적 자원 제공 PaaS (Platform as a Service) Pass (..
[금융IT용어] CRM / CRV / CoRPA
·
금융경제/금융IT용어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 기업이 고객 관계를 관리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현재의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정리, 분석해 마케팅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관련 행동을 지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 실현, 수정하는 고객 중심의 경영 기법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업들이 고객들의 성향과 욕구를 미리 파악해 이를 충족시켜 주고 기업들이 목표로 하는 수익이나 광고효과 등 원하는 바를 얻어내는 기법을 말한다. CRM은 단순히 제품을 팔기보다는 ‘고객과 어떤 관계를 형성해나갈 것인가’, ‘고객들이 어떤 것을 원하는가’ 등에 주안점을 둔다. 이런 고객 성향이나 취향을 먼저..
[경제용어] 인플레이션(inflation),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의미와 뜻
·
금융경제/경제 및 부동산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 인플레이션은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상품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꾸준히 오르는 경제 현상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초인플레이션이라고합니다.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상품의 물가가 꾸준이 상승하는 현상으로 반대말로 디플레이션(물가하락; Deflation)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으로는 유통되는 통화공급의 증가, 소비자 투자, 재정지출 등 수요 확대에 의하여 생깁니다. 인플레이션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중 하나는 종합물가지수(소비자종합물가지수; CPI)입니다. 이는 단위시간당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이 지표에 의해서 인플레이션이 결정됩니다. ​ 인플레이션은 경제에 여러가지 방향으로 영향을 줍니다. ..
[경제용어]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울트라스텝(점보스텝) 용어 의미와 뜻
·
금융경제/경제 및 부동산
요즈음 계속해서 기준금리 인상 소식이 들려오고있습니다. 금리인상을 할 때 50%p를 인상했다, 25bp를 인상했다 라는 bp(basis point)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요, bp는 금리 변동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로 1bp = 0.01%입니다. 금리를 인상할 때 5bp 인상했다 라면 5퍼센트 포인트 인상했다라고 읽습니다. 기준금리 관련 뉴스를 접하다보면 스텝이란 용어도 자주 나옵니다. 스텝(step)은 금리를 인상 또는 인하하는 폭을 의미합니다. 원래는 사람의 걸음 폭을 의미하는데 경제 용어로 사용되면 인상/인하 폭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베이비스텝,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울트라스텝 등이 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도 빅스텝이 올 수 있다는 소식도 있는데 뉴스에서 많이 보이는..
[부동산] 용적율, 건폐율이란?
·
금융경제/경제 및 부동산
용적율이란? => 땅의 크기에서 연면적이 확보하고있는 비율 땅의 크기에서 연면적이 확보하고있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건출물의 바닥 면적이라고 볼 수 있다. 땅 위에 있는 건물의 바닥 면적을 모두 다 합한 것의 백분율을 의미합니다. (연면적 / 땅 면적) x 100 ​ 예를 들어 봅시다 100제곱미터 크기의 땅 위에 약 40제곱미터 규모의 바닥 면적이 모두 같은 5층짜리 건물을 짓는다면 용적률은 몇일까요? => 연면적은 약 200제곱미터 (40제곱미터 x 5층) 가 되며, 용적율은 200%가 됩니다. 만약 용적율이 크다면 건물이 높다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다.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있는 여건이 충족되므로 땅의 시세도 높게 형성되게 됩니다. ​ 더해서 재건축/재개발 시에도 사용되는데 재개발이 진행될 시 용적률 ..
[부동산] LTV,DSR,DTI 용어 의미 뜻
·
금융경제/경제 및 부동산
LTV (주택담보가치비율; Loan to Value Ratio) LTV란? 담보 가치에 대비하여 설정한 대출 비율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담보 가치에 대비했을 때 최대 대출한도를 의미한다. 즉, 주택가격에 비해서 주택담보대출 금액이 어느 정도 차지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 💡예를 들어 LTV가 60%이고, 내가 제공하는 담보(주택가격)가 1억이라면? 내가 최대로 받을 수 있는 대출금은 1억의 20%인 6천만원이 된다. 따라서 대출금을 높게 책정받고 싶다면, LTV가 높아야 한다. ​ 보금자리대출의 경우 미혼, 기혼: 연소득 7,000만원 이하 신혼가구 : 부부합산 연소득 8,500만원 이하 대상주택: 아파트, 연립, 다세대, 단독주택(평가액 6억 이하) *시세는 kb시세 일반 평균가, 한국부동산원시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