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스터디.1-3] CI/CD, Docker, Container
·
스터디/Cloud & k8s
목차   1. CI/CD 란 지속적 통합 (CI) + 지속적 전달 (CD - Continuous Delivery) + 지속적 배포 (CD - Continuous Deployment)  2. CI/CD 특징협업 효율성 증가품질 향상지속적인 통합과 배포 3. GithubActions vs Jenkinsgithub actionsgithub 저장소에 통합된 ci/cd 도구로 코드 변경 사항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빌드, 테스트, 배포 작업 수행장점클라우드 기반으로 별도 인프라 구축 불필요간편한 설정, yaml 파일로 워크플로우 정의하여 설정이 직관적github 와 통합하여 빠른 배포 가능Jenkins오픈소스 자동화 서버, 빌드/테스트/배포 과정을 자동화하는데 사용됨. 플로그인 기반 아키텍처로 배포 환경에 맞게 확장..
[쿠버네티스 스터디.1-2] 확장성, 고가용성, 안정성
·
스터디/Cloud & k8s
1.모던 애플리케이션 특징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을 통해 서비스가 장애 발생시에도 중단되지 않도록 설계됨확장성을 갖추어 수직적/수평적 확장 가능복원력을 통해 빠르게 복구 가능자동화된 ci/cd pipeline과 container 기술을 통해 빠른 배포 주기와 일관된 품질 보장데이터 복제, 샤딩, Failover 와 같은 분산 시스템 적극 활용됨2.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 HA)Why?서비스 다운은 매출손실, 사용자 이탈,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짐. 무중단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됨.3.고가용성의 핵심 개념1) Single Point of Failure (SPOF)하나의 장애로 인해 전체 시스템이 멈추는 지점e.g. 서버 1대로 운영하면 서버가 다운될 경우 서비스도 중단됨 2..
[쿠버네티스 스터디.1-1] 모던 애플리케이션의 특징
·
스터디/Cloud & k8s
전통적인 애플리케이션 vs 모던 애플리케이션전통적인 애플리케이션이란?모놀리식 구조로 수동 배포하는 구조의 애플리케이션모던 애플리케이션이란?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과 비즈니스 요구에 맞춰 설계된 애플리케이션- 특징: 클라우드 네이티브 (cloud-native) 전통적 애플리케이션모던 애플리케이션모놀리식 구조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MSA수동 배포CI/CD 자동화 배포물리 서버 기반클라우드 및 컨테이너 기반낮은 확장성높은 확장성(scale- in, out)다운타임 발생 가능고가용성 및 무중단 배포  클라우드 네이티브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개발, 배포,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방법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이 더 잘 동작하도록 만들어진 것 특징유연한 확장성빠른 배포 및 업데이트자동화:..
[k8s] Container 환경에서 JVM GC (Garbage Collection) 확인하기
·
스터디/Cloud & k8s
JDK11의 GC는 무조건 G1GC일까? JDK11의 GC 알고리즘을 일반적으로 G1GC를 사용한다고 알려져있는데요, JDK11을 사용한다고 무조건 G1GC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명령어로 GC 확인 어떤 GC를 사용하는지는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가능합니다. > java -XX:+PrintCommandLineFlags -version pinpoint로 GC 확인 pinpoint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pinpoint를 확인해보니 Serial GC 알고리즘을 사용하고있네요. GC 종류 Serial GC 가장 단순한 방식의 GC 싱글스레드로 동작 느리고 그만큼 stop the world 시간이 다른 GC에 비해 길다 보통 실무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없음 (디바이스 성능이 안좋아서 cpu ..
[k8s] Helm과 Chart 란?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
·
스터디/Cloud & k8s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입니다 Helm Helm이란? 쿠버네티스는 도커 컨테이너를 쉽게 관리하고 배포해주는 일종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라고하였습니다~! Helm은 이러한 쿠버네티스를 파이썬의 pip, Node.js에서 npm의 역할과 같이 쿠버네티스를 패키지로 해서 관리해주는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도록 관리합니다. 즉, Helm을 사용하면 클러스터에서 배포할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설치, 업데이트, 삭제가 가능합니다. Helm 아키텍처..
[k8s] 컨테이너 실행 명령어 종류
·
스터디/Cloud & k8s
Docker Container를 사용하다보면 명령어를 많이 사용하게됩니다. 보통 docker 명령어를 통해서 이미지를 실행 또는 stop을 할 수 있는데요, 기본적인 명령어 외에 어떤 명령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합니다. 도커 컨테이너 (Docker Container) 도커 이미지를 통해서 도커 컨테이너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도 설명드렸듯이 컨테이너는 이미지를 실체화한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는데요, 비유를 들자면 이미지 = 붕어빵틀 컨테이너 = 붕어빵 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이미지 하나로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죠. 자세한 도커 컨테이너 설명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k8s] 컨테이너(Container)와 쿠버네티스(Kubernetes) 소개 컨테이너(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