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인플레이션(inflation),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의미와 뜻
·
금융경제/경제 및 부동산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 인플레이션은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상품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꾸준히 오르는 경제 현상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초인플레이션이라고합니다.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상품의 물가가 꾸준이 상승하는 현상으로 반대말로 디플레이션(물가하락; Deflation)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으로는 유통되는 통화공급의 증가, 소비자 투자, 재정지출 등 수요 확대에 의하여 생깁니다. 인플레이션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중 하나는 종합물가지수(소비자종합물가지수; CPI)입니다. 이는 단위시간당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이 지표에 의해서 인플레이션이 결정됩니다. ​ 인플레이션은 경제에 여러가지 방향으로 영향을 줍니다. ..
[경제용어]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울트라스텝(점보스텝) 용어 의미와 뜻
·
금융경제/경제 및 부동산
요즈음 계속해서 기준금리 인상 소식이 들려오고있습니다. 금리인상을 할 때 50%p를 인상했다, 25bp를 인상했다 라는 bp(basis point)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요, bp는 금리 변동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로 1bp = 0.01%입니다. 금리를 인상할 때 5bp 인상했다 라면 5퍼센트 포인트 인상했다라고 읽습니다. 기준금리 관련 뉴스를 접하다보면 스텝이란 용어도 자주 나옵니다. 스텝(step)은 금리를 인상 또는 인하하는 폭을 의미합니다. 원래는 사람의 걸음 폭을 의미하는데 경제 용어로 사용되면 인상/인하 폭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베이비스텝,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울트라스텝 등이 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도 빅스텝이 올 수 있다는 소식도 있는데 뉴스에서 많이 보이는..
[부동산] LTV,DSR,DTI 용어 의미 뜻
·
금융경제/경제 및 부동산
LTV (주택담보가치비율; Loan to Value Ratio) LTV란? 담보 가치에 대비하여 설정한 대출 비율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담보 가치에 대비했을 때 최대 대출한도를 의미한다. 즉, 주택가격에 비해서 주택담보대출 금액이 어느 정도 차지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 💡예를 들어 LTV가 60%이고, 내가 제공하는 담보(주택가격)가 1억이라면? 내가 최대로 받을 수 있는 대출금은 1억의 20%인 6천만원이 된다. 따라서 대출금을 높게 책정받고 싶다면, LTV가 높아야 한다. ​ 보금자리대출의 경우 미혼, 기혼: 연소득 7,000만원 이하 신혼가구 : 부부합산 연소득 8,500만원 이하 대상주택: 아파트, 연립, 다세대, 단독주택(평가액 6억 이하) *시세는 kb시세 일반 평균가, 한국부동산원시세 ..
[금융IT용어] 전자서명 평가 인정제도 / 마이페이먼트 / 정보통신망법 /전송계층 / 지수차익거래
·
금융경제/금융IT용어
1. 전자서명 평가 인정제도 전자서명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이용자의 합리적 선택에 필요한 정보제공을 위해 도입한 제도이다. 현행법의 공인인증서는 일반 인증서와 구별되는 별도 법적효력이 있지만, 개정안의 평가를 통과한 인증수단에는 별도 법적효력이 부여되지 않는다. 다만 운영기준을 준수했다는 표시를 통해 이용자들이 이를 선택할 수 있게 했다. 2. 지급지시서비스업 (마이페이먼트(My Payment), PISP(Payment Initiation Service Provider) ) 접기 결제자금을 보유하지 않고도 금융기관을 통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모든 금융기관의 계좌에 있는 자금을 자유롭게 결제 및 송금 처리하는 서비스. 예를 들면 농협 앱 內 신한 계좌, 우리 계좌를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