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8s] Helm과 Chart 란?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
·
스터디/Cloud & k8s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입니다 Helm Helm이란? 쿠버네티스는 도커 컨테이너를 쉽게 관리하고 배포해주는 일종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라고하였습니다~! Helm은 이러한 쿠버네티스를 파이썬의 pip, Node.js에서 npm의 역할과 같이 쿠버네티스를 패키지로 해서 관리해주는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도록 관리합니다. 즉, Helm을 사용하면 클러스터에서 배포할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설치, 업데이트, 삭제가 가능합니다. Helm 아키텍처..
[k8s] 쿠버네티스 오브젝트(Kubernetes Objects) 종류
·
스터디/Cloud & k8s
쿠버네티스 오브젝트(Kubernetes Objects)란?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는 쿠버네티스 시스템에서 영속성을 가지는 오브젝트입니다. 쿠버네티스는 클러스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이 오브젝트를 이용합니다. 어떤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중인지, 어느 노드에서 동작 중인지 그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수 있는 리소스 그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동작할지에대한 정책 (재시작, 업그레이드 등)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오브젝트를 생성/변경/삭제하여 쿠버네티스 시스템에 내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표현될지 전달합니다. 이를 원하는 상태(desired state)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정보를 .yaml 파일로 kubectl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에 제공합니다. kubectl은 api 요청이 이루어질 때 json 형태로..
[k8s] 컨테이너(Container)와 쿠버네티스(Kubernetes) 소개
·
스터디/Cloud & k8s
컨테이너(Container) 컨테이너는 어떤 환경에서나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영체제를 가상화여 프라이빗 퍼블릭 클라우드 또는 개발자의 개인 노트북에 이르기까지 어디서나 실행가능하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컨테이너는 운영체제(OS)의 기능을 활용하여 프로세스를 격리하고 해당 프로세스가 접근 할 수 있는 cpu, 메모리 및 디스크 양을 제어는 OS 가상화 형식을 활용한다. OS의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여러 개의 컨테이너가 공유하여 사용한다. 우리가 흔히 들어본 도커(docker)는 이러한 컨테이너를 다루는 유명한 도구 중 하나이다. 과거 배포 관리 변천사 1) 전통적인 배포 시대 초기에는 애플리케이션을 물리 서버에서 실행했다. 물리 서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