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뉴스] 우리은행, '비정형 빅데이터' 활용 획기적 개선…'하둡' 연계 EDW 본격 가동
·
금융경제/뉴스
우리은행이 기존과 비교해 훨등한 데이터 분석 능력을 갖추게 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데이터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우리은행(은행장 권광석)은 국내 은행에서는 처음으로 빅데이터 플랫폼과 EDW(전사 데이터웨어하우스)를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DW(Data Warehouse) 아키텍처 구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은행측에 따르면, '하둡(Hadoop)'분산정보 저장시스템과 기존 EDW를 통합해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레이크(Data Lake)를 새롭게 구축한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내용이다. 우리은행측은 이를 통해 데이터 중복 적재에 따른 자원 낭비를 해소하고 데이터 분석, 설계, 서비스 구현 등에서 50% 이상 속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
[금융뉴스] 핀크, 돈 버는 송금 ‘플러스 송금’ 오픈
·
금융경제/뉴스
핀크(Finnq, 대표이사 권영탁)가 송금만 해도 100원씩 지급하고 수취인이 핀크에 최초 가입할 때마다 1천 원을 제공해 최대 1백만 원의 혜택을 볼 수 있는 ‘플러스 송금’을 선보였다. 핀크는 플러스 송금을 통해 돈을 보내는 송금의 원개념에서 벗어나 고객이 송금하면서 돈을 벌 수 있도록 총 세 가지의 파괴적 혁신 혜택을 마련했다. 먼저 핀크 앱에서 핀크 송금, T전화송금 등 핀크의 다양한 송금 서비스를 이용해 이체할 때마다 100원을 지급한다. 여기에 전화번호를 이용해 이체하는 연락처 송금 시 송금받는 친구가 핀크에 최초 가입하면 송금인과 수취인 모두에게 1천 원을 지급한다. 고객별 월 999회에 한하여 최대 999천 원을 제공하며, 송금 시 1백 원 지급 이벤트와 함께 월 최대 1백만 원의 혜택을 ..
[금융IT용어] 코봇 / 멀버타이징 / 옴니프레즌스 / 딥러닝
·
금융경제/금융IT용어
1. 코봇 Cobot Collaborative + Robot 의 합성어. 코봇은 사람들을 도와주는 '협업로봇'이다. 사람이 하는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산업 현장에서는 사람이 하기 어려운 위험한 업무나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등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코봇은 다양한 곳에서 활용될 수 있다. 글로벌 자동차 기업인 포드 공장에서 코봇이 재료손질, 용접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자동차 생산 작업을 돕고 있다. 또한 아마존 창고에서는 무거운 짐을 작업대까지 옮기는 역할을 하는 등 앞으로의 활약이 기대되고 있다. 2. 멀버타이징 Malvertising Malicious + Advertising 의 합성어. 멀버타이징은 온라인 광고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악성코드를 유포하고 감염시키..
[금융IT용어] 다크데이터 / 스피어피싱 / 인슈어테크
·
금융경제/금융IT용어
1. 다크데이터 정보를 수집했으나, 사용하지 않은 채 방치된 데이터를 다크데이터라고 한다. 사람의 몸짓, 함성, 목소리처럼 분석이 어렵거나 사용하기 어려운 비정형 데이터를 의미한다. 최근 IBM은 인공지능 '왓슨'을 활용해 관중 함성, 선수 제스터를 분석한 스포츠 하이라이트 영상을 선보였다. 앞으로 다크 데이터는 다방면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스피어 피싱 (Spear Phishing) 스피어 피싱이란 물속에서 작살을 이용해 물고기를 잡는 작살낚시에서 유래된 용어이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일반적인 해킹이 아니라 특정한 개읹어보나 기밀 정보를 빼내기 위해 행해지는 해커의 공격을 말한다. 목적을 갖고 행하는 해킹으로써, 흔히 국가기관이나 주요 기업의 특정 기밀 정보를 탈취한다. 조직 전체에 피..
[금융IT용어] 카푸치노 효과 / 페어트레이딩/ 전자금융거래법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
금융경제/금융IT용어
1. 카푸치노 효과 Cappuccino effect 카푸치노 효과란, 카푸치노의 이미지에서 연상되는 것처럼 재화가 실제의 가치보다 터무니없이 높게 책정된 시장의 거품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버블경제’를 의미한다. 경기가 끝없이 하락하는데도 유독 가격이 급등하며 과열되는 부동산 시장에 주로 적용되는 금융용어이다. 카푸치노 효과로 인한 결과는 신용경제와 실물경제 사이의 커다란 괴리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호재가 예상되는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급등해 실질적인 시세 이상의 대출로 무리하게 아파트를 사들인 후 시세가 급하락하면서 하우스푸어로 전락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시민 경제는 악화될 수밖에 없죠. 최근 비트코인 시장 역시 이 같은 현상을 겪고 있어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2. 페어트레..
[금융IT용어] DID / 애그테크 / 스몰 라이선스 / 스푸핑
·
금융경제/금융IT용어
1. DID(Decentralized Identity) 존 신원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분산신원확인 또는 탈중앙화 신원확인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분산아이디 서비스로는 한국의 주요 통신사와 은행들이 연합한 이니셜(Initial),아이콘루프 를 중심으로 한 마이아이디(MyID) 서비스 등이 있다. 분산ID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신분증이다. 이용자 스스로 자신의 신원정보를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화된 신원관리 체계다. 우리가 지갑에 주민등록증을 보관하고 필요할 때 꺼내 나를 증명하는 것처럼, 개인 블록체인 월렛에 내 개인정보를 담아 필요한 때 개인키를 입력해 나를 증명하는 것이다. (개인)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