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T용어] IaaS / PaaS / Saas
·
금융경제/금융IT용어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아이아스 또는 이에스라고 부른다. IaaS는 서비스로 제공되는 인프라스트럭처로 개발사에 제공되는 물리적 자원을 가상화한다.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는 확장성이 높고 자동화된 컴퓨팅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고객에게 서버, 네트워크, OS,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한다. IaaS의 제공업체는 서버,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킹, 가상화 및 스토리지를 관리하며 고객은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와 같은 자원을 관리한다. 장점: 물리적 자원을 제공받기때문에 고정비가 들지 않는다. 물리적 자원에대한 규모 확장/축소가 자유롭다. 요약) 물리적 자원 제공 PaaS (Platform as a Service) Pass (..
[금융IT용어] CRM / CRV / CoRPA
·
금융경제/금융IT용어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 기업이 고객 관계를 관리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현재의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정리, 분석해 마케팅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관련 행동을 지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 실현, 수정하는 고객 중심의 경영 기법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업들이 고객들의 성향과 욕구를 미리 파악해 이를 충족시켜 주고 기업들이 목표로 하는 수익이나 광고효과 등 원하는 바를 얻어내는 기법을 말한다. CRM은 단순히 제품을 팔기보다는 ‘고객과 어떤 관계를 형성해나갈 것인가’, ‘고객들이 어떤 것을 원하는가’ 등에 주안점을 둔다. 이런 고객 성향이나 취향을 먼저..
[k8s] Helm과 Chart 란?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
·
스터디/Cloud & k8s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를 적어주세요. 글의 요약 설명 부분. 150자입니다 Helm Helm이란? 쿠버네티스는 도커 컨테이너를 쉽게 관리하고 배포해주는 일종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라고하였습니다~! Helm은 이러한 쿠버네티스를 파이썬의 pip, Node.js에서 npm의 역할과 같이 쿠버네티스를 패키지로 해서 관리해주는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도록 관리합니다. 즉, Helm을 사용하면 클러스터에서 배포할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설치, 업데이트, 삭제가 가능합니다. Helm 아키텍처..
[리눅스] 리눅스 명령어 nslookup 사용법 및 예제
·
스터디/LINUX
리눅스 명령어 중에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nslookup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nslookup은 어떤 명령어인지, 언제 사용하는 명령어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합니다. nslookup 명령어 의미 nslookup 명령어는 네트워크 디버깅을 할 때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에 직접 DNS 쿼리를 하고 그 결과를 출력합니다. 이 명령어를 통해서 DNS 설정이 정상인지, 정상 동작하고 있는지, 네트워크가 의도한대로 정상 설정 되어있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또한 nslookup은 리눅스 명령어지만 macOS 나 window에도 동일한 이름을 가진 명령어가 있스니다. 현재는 nslookup 보다는 비슷한 기능을 지닌 dig 또는 host 명령어를 지..
[k8s] 컨테이너 실행 명령어 종류
·
스터디/Cloud & k8s
Docker Container를 사용하다보면 명령어를 많이 사용하게됩니다. 보통 docker 명령어를 통해서 이미지를 실행 또는 stop을 할 수 있는데요, 기본적인 명령어 외에 어떤 명령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합니다. 도커 컨테이너 (Docker Container) 도커 이미지를 통해서 도커 컨테이너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도 설명드렸듯이 컨테이너는 이미지를 실체화한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는데요, 비유를 들자면 이미지 = 붕어빵틀 컨테이너 = 붕어빵 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이미지 하나로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죠. 자세한 도커 컨테이너 설명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k8s] 컨테이너(Container)와 쿠버네티스(Kubernetes) 소개 컨테이너(Container)..
[네트워크] DMZ(Demilitarized Zone) 의미와 뜻
·
스터디/Network
네트워크에서 내부망과 외부망에대해서 이야기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DMZ라는 용어도 함께 언급되는데요 DMZ란 한국어로 직역하면 비무장지대로 아군과 적군 어느쪽이든 무장을 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네트워크에서 말하는 DMZ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간단하게 DMZ가 가지는 의미부터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지까지 알아봅시다. DMZ란? DMZ란 Demilitarized Zone의 약자로 내부/외부망의 중간 지점을 의미합니다. 내부/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중간지점에 위치하여 침입 차단 시스템 등으로 접근 제한을 수행하지만 외부에서 DMZ로의 직접 접근은 가능합니다. 배경 왜 DMZ라는 것을 만들어 사용하게되었을까요? 그 배경에대해서 알아봅시다. 컴퓨팅과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기관들은 보안 목적으로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