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IoC와 DI
·
스터디/Spring
Spring하면 항상 나오는 개념인 IoC와 DI에 대해서 정리를해본다. IoC (Inversion Of Control) 의역하면 "제어의 역전"이라고한다. 제어의 역전이란 무엇일까? 말그대로 메서드나 객체의 생성, 호출을 개발자가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결정하는 것이다. 스프링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가 제어권을 갖고 적절한 시점에 필요한 객체를 생성하고 메서드를 호출한다. 아래 코드 예시를 살펴보자. 과거에는 개발자들이 필요한 생성자를 new 키워드로 객체를 직접 생성하였다. class OwnerController { private OwnerRepository repository = new OwnerRepository(); } 제어권이 스프링 컨테이너로 넘어가고 객체의 생성 및 생명주기까지 관리 할 수 ..
Spring vs SpringBoot
·
스터디/Spring
Spring을 공부하면서 Spring과 SpringBoot의 차이점이 궁금했다. 우선 왜 스프링을 스프링이라할까? Spring 어원 개발자들이 스프링을 사용하게되면서 추운 "Winter"는 끝이나고 이제 "Spring"이 왔다고해서 스프링으로 이름이 붙여졌다고한다. 이렇게 Spring이라는 이름으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게되었고 이후에 나온 것이 SpringBoot이다. Spring vs SpringBoot Spring과 SpringBoot의 자세한 차이점은 무엇일까? 우아한Tech의 닉 개발자분께서는 봄 vs 조금더 봄 으로 표현하신다. 스프링부트 특징은 1) 쉽게 만들고 2) 단독적이며 3) 상용화 수준의 4) 스프링 기반 애플리케이션 이라는 특징으로 단지 실행만 시키면 된다. 본격적인 차이점은 아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