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금융경제/금융IT용어28 [금융IT용어] HTF / Latency / Trading System / API 1. HTF High Frequency Trading 고빈도매매; 컴퓨터를 통해 빠른속도로 내는 주문을 수천번 반복하는 거래로서 알고리즘매매방식 중 하나. 미리 정해놓은 특정한 조건을 충족하면 고성능컴퓨터에 의해 빠른 속도로 주문이 자동으로 이루어 지는데, 거래속도가 가장 빠른 나초단타매매로 수익을 내는 방법에는스닥의 경우 주문 속도는 최고 143ms에 달한다. 2. 레이턴시 (Latency) 동시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의 개념이 등장, latency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Remote DMA(Direct Market Access)부터 최근 거래소의 co-location service까지 진행되고 있다. Latency가 줄었다, 즉 low latency라는 것은 호가나 주문을 경쟁자보다 빨리 받거나 보.. 2020. 3. 6. [금융IT용어] 게이트웨이 / DMA / 알고리즘 트레이딩 / ELW 1.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gateway )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용어, 즉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이다. 2. DMA Direct Market Access 증권사 서버를 거치지 않고 고객매매시스템을 바로 최소주문경로(최소속도)로 거래소 시스템에 연결하는 주문방법 DMA를 위해서는 algorithmic trading이 필요하다. 3. 알고리즘 트레이딩 algorithmic trading 하나 혹은 여러개의 지표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그에 따라서 기계적으로 프로그래밍된 상태로 주문을 실행하는 트레이딩기법 4. ELW Equity Linked Warranty 특정 대상.. 2020. 3. 4. [금융IT용어] 공개키 암호방식 / 대칭키 / 그리드컴퓨팅 1. 공개키 암호방식 공개키 암호 방식은 암호 방식의 한 종류로 사전에 비밀키를 나눠가지지 않은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공개키 암호 방식에서는 공개키와 비밀키가 존재하며, 공개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그에 대응하는 비밀키는 키의 소유자만이 알 수 있어야 한다. 공개키 암호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은 대칭키 암호 방식과 비교하여 비대칭 암호라고 부르기도 한다. 공개키 암호 방식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특정한 비밀 키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만 내용을 열어볼 수 있는 방식과 특정한 비밀 키로 만들었다는 것을 누구나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 있다. 2. 대칭키 대칭키 암호(Symmetric-key algorithm)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한 종류로,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암호 키를.. 2020. 3. 4. [금융IT용어] U2L / 빅테크 / 가상화폐 1. U2L 전산시스템을 유닉스에서 리눅스로 전환하는 것이다. 리눅스 기반 시스템이 시장에 소개된 것은 오래되었지만, 금융권은 안정성을 이유로 업무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단위 시스템에만 일부 적용되는 수준이었지만 미국 뉴욕증권거래소(2007년) 등 해외 금융기관이 리눅스를 적용한 이후 2014년 한국거래소(KRX)를 필두로 최근 카카오뱅크 및 케이뱅크에 이르기까지 리눅스로의 전환이 점차 늘고 있다. 리눅스 기반 시스템이 구축되면 기업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최근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변화와 함께 기업들은 사전 단계로 리눅스로 전환하고자 한다. 2. 빅테크 빅테크는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거대 정보기술(IT) 기업을 가리키는 용어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아마존 등.. 2020. 3. 3. [금융IT용어] 부인방지 / 라우팅 / 데이터마트 / 데이터웨어하우스 1. 부인방지 메시지의 송수신이나 교환 후, 또는 통신이나 처리가 실행된 후에 그 사실을 사후에 증명함으로써 사실 부인을 방지하는 보안 기술. 예를 들면, 전자 우편이나 메시지를 송신하고도 송신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송신자의 부인을 막는 송신 부인 방지, 메시지가 송달(전달)된 사실을 송달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수신자의 부인을 막는 송달 부인 방지메시지를 수신하고도 수신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수신자의 부인을 막는 수신 부인 방지 등이 부인 방지 기술의 대상이 된다. 2. 라우팅(Routing) 라우팅(routing)은 어떤 네트워크 안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라우팅은 전화 통신망, 전자 정보 통신망(인터넷 같은) 그리고 교통망 등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이 글은 패.. 2020. 3. 3. [금융IT용어] 오픈 API / 오픈소스 SW / 블록체인 1. 오픈 API 특별한 프로그래밍 기술이 없이도 원하는 앱을 쉽계 만들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인 공개 개발 모듈 프로그램 2. 오픈소스 SW 보통 Open Source Software의 약자인 OSS로 표기하며, 해외에서는 오픈소스 SW = OSS, 자유&오픈소스 SW = FOSS로 많이 표기하지만, 국내에서는 별 차이없이 OSS로 표기한다. 오픈소스 SW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권리를 보장하면서 소스코드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는 개발 모델로써, 소스 코드에 대한 사용, 복제, 배포, 수정이 허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그리고, OSS 저작권자는 사용자에게 라이선스를 줌으로써 이러한 권리들을 보장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여러 의무를 부여한다. OSS 라이선스에는.. 2020. 3. 2. [금융IT용어] TechFin / RPAI / RPA / 가명정보 1. 테크핀 (TechFin) 핀테크에서파생된 용어로 기술 중심 금융으로 핀테크가 금융 회사가 주도해 금융에 IT기술을 접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테크핀은 IT회사 주도해 IT기술에 금융을 접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2.RPAI RPA와 AI가 결합된 형태로, 초기 RPA가 단순한 업무 자동화에 그쳤다면 RPAI, 즉 디지털 워크포스는 업무 진행 시 사람의 행동 양식과 유사한 형태로 RPA 기술을 바탕으로 빅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함. 3.가명정보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추가 정보의 사용이나 결합 없이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로 2020년 1월 9일 개인정보 보호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개인정보처리자가 통계작성, 과학적 연구, 공익적 기.. 2020. 3. 1. [금융IT용어] 데이터 스크래핑 / 마이 데이터 / DID 1. 데이터 스크래핑 고객이 자신의 인증 정보를 한 번만 제공하면 컴퓨터가 고객이 이용하는 금융사에 접속해서 흩어져 있는 정보를 모아 제공하거나 가공하는 기술로써, 이용자가 인증 정보를 핀테크 업체 서비스에 입력,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한 서비스에 접속 시 활용하는 방식. 핀테크 기업이 개인 고객 대상 자산‧신용 관리 서비스를 대거 선보이면서 트래픽 문제 등을 해결을 위해 최근 인증 주체가 핀테크 업체에서 정보 주체인 이용자로 변경됨에 따라 고객 정보접근권을 정보 주체가 확보하고 스스로 통제가 용이한 표준 API 방식으로 전환하고자 함 2.마이 데이터 (My Data)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보주체인 개인이 소외되는 문제에 따라 금융자산 정보, 신용정보 등 고객 데이터 .. 2020. 3. 1. 이전 1 2 다음 728x90